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캘린더 라이브러리
- 로그인
- react
- Update
- 빌드 및 배포
- 밸류즈
- 이미지 업로드
- stock option
- 스프링시큐리티
- register
- 로그인 로직
- Ajax
- Typesciprt
- Token
- 회원가입로직
- 공통메서드
- Styled Components
- mypage
- userManagement
- 파생상품평가
- 마이페이지
- 달력 라이브러리
- 인증처리
- 밸류즈 홈페이지
- 배포
- jsonwebtoken
- ui탬플릿
- 관리자페이지
- RCPS
- MRC
- Today
- Total
목록빌드 및 배포 (3)
I T H

vite 환경에서의 배포에 대해서 다뤄볼 것이다. 1. Vite 프로젝트 빌드 npm run builddist 폴더가 생성된다. 2. 서버에 NGINX 설치 및 자동실행 설정(putty에서 명령어사용) NGINX는 톰캣처럼 서버에서 운영하는데 도와준다. - 배포에서 Nginx를 쓰는 이유빠른 정적 파일 제공: React, Vue 같은 프론트엔드 정적 파일 서빙보안 강화: SSL/TLS 설정으로 HTTPS 적용유연한 트래픽 관리: 리버스 프록시와 로드 밸런싱 기능애플리케이션 분리: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Nginx가 중재 NGINX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서버에 접속 및 리눅스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게 putty 프로그램을 사용한다.putty에서 계정정보를 입력하고, 접속한 후 NGINX를 설치한다.여기서 리눅..

이번에는빌드한 코드를 운영서버에 실제로 배포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했다. 빌드를 하기 전, 리눅스와 윈도우는 서로 다른 운영 체제이므로, package.json에서 시작 부분 설정하는 코드에서 각 운영 체제에 맞게 별도로 명령어를 실행해야 한다. 리눅스 환경에서 export 명령어를 사용하고,윈도우에서는 set 명령어를 사용한다. 실제 서버 배포 배포하기 전 운영 서버의 ip를 알아내야 한다.1. 서버의 ip를 알아내는 방법 - ping 명령어를 사용하면된다. ex) ping 도메인주소 ex) ping ~~~.co.kr 입력하면 ip를 알아낼수 있다. ex) [~.~.~.~]2. 이 ip를 이용해서 파일질라에 접속한다.사이트 관리자로 들어가면- 프로토콜은 SFTP를 클릭하면 디폴트로 포트가 2..

회사 홈페이지를 새롭게 구축하고, 빌드 및 배포하는 과정을 정리함. 1. 먼저 빌드를 한다.- 빌드 : 쉽게 집을 만드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됨.npm run build 라고 치면, build 폴더가 새로 만들어질 것이다. 2. 빌드가 완료되었다면, 이제 서버에 배포해보자!실제 서버에 배포하기 전에 테스트 서버에 배포해 보겠다.먼저 컴퓨터에 있는 프로젝트 위치를 알기 위해서 명령어 pwd를 입력해서 알아낸다. 3. [ SFTP ]SFTP는 리눅스 기반의 OS에서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SFTP 접속을 위해서 FileZilla 라는 접속 툴을 사용할건데, 다운로드는 아래링크에서 받을 수 있다.출처: https://devth.tistory.com/82 myPortfoli..